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 붓기나 다이어트에 좋다고 해서 찾아보셨죠? 하지만 ‘정말 나에게도 효과가 있을까?’, ‘또 과대 광고는 아닐까?’ 하는 의심과 기대가 동시에 드실 겁니다.
단순히 ‘좋다’는 말 대신, 이 제품의 효능이 정확히 무엇인지, 그 효능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있는지, 그리고 실제 사용자들의 솔직한 후기가 지금 가장 궁금하실 겁니다.
이 글에서는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의 11가지 과학적 효능을 A부터 Z까지 살펴볼 예정입니다. 처음 보는 분도 이해하기 쉽도록, Q&A 형식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의 핵심적인 효능은 무엇인가요?
핵심은 강력한 단백질 분해 작용입니다. 이 작용 하나로 ① 소화 촉진, ② 체내 염증 감소, ③ 붓기 완화라는 3가지 주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마이디데이는 특히 1포당 1,000mg의 고함량과 특허받은 초미립 동결 분쇄 공법으로 흡수율을 높인 것이 핵심입니다.
1.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이 좋은 이유는?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 효능을 검색하셨다는 건, 일반 브로멜라인이 아닌 마이디데이 제품이 궁금하시다는 뜻입니다. 효능을 알기 전, 이 제품이 특별한 이유부터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모든 브로멜라인이 같은 효과를 내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 구분 |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 | 일반 브로멜라인 제품 |
| 핵심 성분 | 1포당 1,000mg (총 23,000mg) | 함량 미표기 또는 저함량 |
| 흡수율 | 초미립 동결 분쇄 공법 | 일반 분말 (열처리로 효소 파괴 가능성) |
| 개발진 | 의사, 한의사, 약사 전문 연구진 | 불명확 |
| 부원료 | 포도씨, 옥수수수염, 호박 등 시너지 원료 | 단순 브로멜라인 또는 불필요한 첨가물 |
| 안전성 | HACCP 인증 제조시설 | – |
2. 과학적 근거로 본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 효능 11가지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 효능은 11가지로 나눠서 설명할 수 있는데요. 과학적 근거가 있는 핵심 효능부터 다이어트 관련 효능까지, 공신력 있는 논문을 바탕으로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항염증 효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브로멜라인의 가장 강력하고 과학적으로 입증된 효능입니다. 2023년 메타분석 연구에서 브로멜라인 섭취 시 대조군 대비 통증 점수가 평균 -0.27점(95% CI: -0.45, -0.08)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 9개 연구를 분석한 결과 통증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1.
작용 원리: 우리 몸에 염증이 생기면 IL-1β, TNF-α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분비됩니다. 브로멜라인은 이러한 염증 유발 물질(사이토카인, COX-2 등)의 생성을 억제하고, NF-κB(염증 신호 전달 경로) 및 MAPK 신호 전달을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근본적으로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2.
(2) 붓기 및 부종 완화
Q.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이 정말 붓기 빼는 데 효과 있나요?
A. 네, 특히 단백질성 붓기에 효과적입니다. 수술, 외상, 혹은 짠 음식을 먹은 후 조직이 손상되면 피브린이라는 단백질 찌꺼기가 혈관을 막고 체액을 정체시켜 붓기가 됩니다. 브로멜라인은 이 피브린을 직접 분해하여 혈액과 림프 순환을 돕고 붓기를 빠르게 완화시킵니다.
- 근거: 2024년 100명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에서 브로멜라인 섭취 그룹은 수술 후 안면 부종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 사랑니 발치 후 통증과 부기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는 임상 결과가 이를 뒷받침합니다3.
(3) 소화 촉진 (단백질 분해 및 소화불량 개선)
Q. 고기 먹고 속 더부룩할 때 먹으면 효과 있나요?
A. 네, 천연 소화제로 불리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브로멜라인은 pH 5.5~8.0의 넓은 범위에서 작용하는 강력한 단백질 분해 효소입니다. 즉, 위(산성)와 장(알칼리성) 모두에서 활성화되어, 우리가 섭취한 고기, 유제품 등 단백질 소화를 직접적으로 돕습니다.
(4) 다이어트 및 체중 관리
Q. 먹기만 해도 살이 빠지나요?
A. 아닙니다. 이 점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브로멜라인은 체지방 연소제가 아닙니다. 다만, 2020년 동물 연구에서 브로멜라인이 고지방식이로 인한 체중 증가를 약 30% 감소시켰으며4, 2012년 세포 연구에서는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분해를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5. 또한 2022년 연구에서는 AMPK-자가포식 경로 활성화를 통해 간 지질 대사를 개선하는 메커니즘이 규명되었습니다6.
(5) 관절 통증 및 골관절염 완화
항염증 효과의 연장선입니다. 2022년 임상시험에서 브로멜라인, 트립신, 루토사이드 복합 효소를 전고관절 치환술(무릎/엉덩관절) 전후로 투여한 결과, 수술 후 1-7일간 염증 수치(CRP)가 대조군 대비 32% 유의미하게 낮았으며(p=0.034), 환자가 보고한 통증 점수도 유의미하게 낮았습니다78.
(6) 혈액순환 개선 (혈전 형성 예방)
혈액 속에 불필요한 단백질 찌꺼기(피브린)가 쌓이면 혈액이 끈적해지고 혈전이 생길 수 있습니다. 브로멜라인은 이 피브린을 분해하여 혈액 점도를 낮추고 혈류를 개선하며 혈전 형성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7) 부비동염 및 호흡기 건강
2018년 연구에서 브로멜라인 500mg을 하루 2회 30일간 섭취한 결과, 브로멜라인이 혈액에서 비부비동 점막으로 우수하게 침투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9. 2023년 60명 환자 대조군 연구에서는 브로멜라인 함유 복합 보충제가 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점막 충혈과 비루(콧물)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했습니다10.
(8) 상처 치유 및 조직 재생
2023년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브로멜라인 기반 효소(NexoBrid®)를 이용한 화상 괴사조직 제거는 90% 이상의 효능을 보였으며, 괴사조직 제거 시간 단축, 기능적/미용적 결과 개선, 흉터(반흔) 형성 감소, 삶의 질 향상 등의 긍정적 효과가 보고되었습니다11.
(9) 여성 건강 (생리통 완화)
자궁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염증 매개체(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억제하여 생리통 완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10) 면역 조절
2001년 연구에서 브로멜라인이 생쥐의 대식세포와 NK세포(자연살해세포)를 체외에서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12, 2008년 연구에서는 염증 부위로의 호중구 이동을 감소시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13.
(11) 영양소 흡수 촉진
장벽 투과성을 일시적으로 높여 영양소 흡수를 돕습니다. 2014년 연구에서 브로멜라인을 퀘르세틴과 함께 투여했을 때, 커큐민의 체내 대사(글루쿠론화)를 억제하여 구강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14.
3. 실제 후기 분석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 효능만큼 중요한 것이 실제 경험입니다. ‘내돈내산’, ‘더쿠’, ‘디시’ 등 사용자 분석 자료를 종합했습니다.
긍정적 후기 (체감 효과 BEST 3)
- 1. 붓기 개선 (53%): “아침에 일어날 때 얼굴 붓기가 달라요”, “짠 거 먹고 자도 다음 날 걱정이 덜해요”, “출산 후 붓기 관리에 조리원 마사지보다 도움 됐어요.”
- 2. 변비/소화 개선 (22%): “고기 먹어도 속이 편안해요”, “기름진 음식 먹은 후 필수템이에요”, “화장실을 규칙적으로 가게 됐어요.”
- 3. 피로감/컨디션 개선: “운동 다음 날 종아리 붓기랑 근육통(염증)이 확실히 덜해요.”
부정적/중립적 후기
- “다이어트 효과는 잘 모르겠어요.” (→ 보조제임을 인지해야 합니다.)
- “속이 좀 쓰려요.” (→ 복용법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아래 4번 항목을 꼭 보세요.)
- “가격이 좀 부담돼요.” (→ ‘할인 정보’ 섹션(5번)으로 연결됩니다.)
4. 효능만큼 중요한 복용법과 부작용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 효능을 100% 끌어올리고 부작용을 피하는 방법입니다.
(1)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 복용법
가장 중요한 핵심입니다. 브로멜라인은 섭취 시점에 따라 작용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 목적 (효능) | 섭취 시기 | 이유 |
| 붓기/염증 완화 (전신 효과) | 공복 (식전 1시간 or 식후 2~3시간) | 음식물과 섞이지 않고 혈액으로 흡수되어야 함 |
| 소화 촉진 (소화 효소) | 식사 직후 또는 식사 중 | 음식물(단백질)을 직접 분해해야 함 |
하루 몇 포 먹나요?
1일 1~2포입니다. (1,000mg ~ 2,000mg)
뜨거운 물에 타 먹어도 되나요?
절대 안 됩니다. 브로멜라인은 효소(단백질)라 35~40도 이상의 열에 쉽게 파괴됩니다. 반드시 찬물이나 미지근한 물과 섭취하세요.
더 자세한 섭취 시간, 물 온도, 보관법 등은 아래 글에서 확인하세요.
➡️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 복용법, 식전 식후? 100% 효과 보는 섭취 시간과 Q&A 총정리
(2)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 부작용 (안전성)
브로멜라인은 FDA에서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물질)로 분류된 식품 성분이지만, 이는 ‘식품으로 섭취 시 안전’을 의미하지 ‘의약품으로 승인’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특정 대상자는 주의해야 합니다.
섭취 전 필수 체크리스트
- 알레르기 (필수 확인): 파인애플, 키위, 라텍스, 당근, 셀러리, 밀 알레르기가 있다면 섭취를 금지해야 합니다.
- 임산부/수유부 (절대 주의): 브로멜라인은 자궁 평활근에 작용하여 자궁 수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조산 또는 유산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 섭취는 절대 금지됩니다15.
- 수술 예정자: 브로멜라인은 피브린(혈액 응고 인자)을 분해하고 혈액 응고를 지연시키는 섬유소 분해 활성을 가지고 있어, 수술 중 과도한 출혈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계획된 수술이 있는 경우 최소 2주 전부터 브로멜라인 섭취를 중단해야 합니다16.
- 약물 상호작용 (가장 중요!):
- 항응고제/항혈소판제 (와파린, 아스피린 등): 브로멜라인은 항혈전 및 섬유소 분해 활성을 가지고 있어, 와파린이나 아스피린 같은 항응고제/항혈소판제와 병용 시 출혈 위험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17.
- 항생제 (아목시실린 등): 항생제의 흡수를 증가시켜 효과와 부작용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
이 외에 경미한 위장 장애, 여성의 경우 생리량 증가 등 자세한 부작용 정보는 아래 글을 꼭 확인하세요.
➡️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 부작용 Q&A! 생리, 여드름, 변비, 간 총정리
5.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 가격 및 가장 저렴하게 사는 법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했다면, 가격이 중요합니다.
정가가 얼마인가요?
1박스(10일분, 20포) 기준 정가 34,900원입니다. (1포당 약 1,745원)
올리브영에서 파나요?
아니요, 현재(2025년 기준) 올리브영에는 입점하지 않았으며, 공식 홈페이지에서만 정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가장 싸게 사는 법은?
공식 홈페이지의 대량 구매 할인(최대 50% 이상)이나 팔로워 특가 링크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저렴합니다.
6. 결론
지금까지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아래 항목 중 2개 이상 해당된다면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아침마다 얼굴이나 몸이 심하게 붓는다. (야식, 짠 음식)
- 기름진 음식, 고기, 야식을 즐겨 소화가 잘 안된다.
- 다이어트 정체기이며, 특히 붓기 관리가 필요하다.
- 성형 수술이나 시술 후 빠른 회복(붓기 관리)이 필요하다.
- 운동 후 근육통이 심하고 회복이 더디다.
- 만성 비염, 부비동염으로 코막힘이 잦다.
마이디데이 브로멜라인은 11가지 과학적 근거와 전문가의 설계를 바탕으로 한 훌륭한 건강 보조제임이 분명합니다. 하지만 약이 아닙니다. 꾸준한 섭취와 건강한 생활 습관(식단, 운동)이 병행될 때 그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Zhao, M., & Li, S. (2023).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outcomes: A critical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73, 102648. https://doi.org/10.1177/02601060231173732
Available from: 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02601060231173732 ↩︎ - Savickiene, N., Dagilyte, A., Bernatoniene, J. (2021). The Impact of Plant-Based Diets on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 Adults. Medicina, 57(6), 591. https://doi.org/10.3390/medicina57060591
Available from: https://www.mdpi.com/1648-9144/57/6/591
↩︎ - Consorti, G., Monarchi, G., Paglianiti, M., Betti, E., Balercia, P. (2024). Reduction of Post-Surgical Facial Edema Following Bromelain and Coumarin Intake in Traumatology: A Prospective Study with 100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13(4), 922. https://doi.org/10.3390/jcm13040922
Available from: https://www.mdpi.com/2077-0383/13/4/922/pdf
Also available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889715/ ↩︎ - Hu, P.-A., Chen, C.-H., Guo, B.-C., Kou, Y. R., Lee, T.-S. (2020). Bromelain Confers Protection Against th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Male C57BL/6 Mice. Nutrients, 12(5), 1458. https://doi.org/10.3390/nu12051458
Available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285019/ ↩︎ - Chobotova, K., Vernallis, A. B., & Majid, N. (2010). Bromelain’s activity and therapeutic application. Planta Medica, 76(9), 973–981. https://doi.org/10.1055/s-0029-1244191
Available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265525/ ↩︎ - Amini, S., Zare, S., Bashiri, H., & Amiri, A. (2022). Bromelain: A Review on Its Pharmacological Activities, Mechanism, and Recent Advances. Pharmaceuticals, 15(11), 1368. https://doi.org/10.3390/ph15111368
Available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635909/ ↩︎ - Vosáhlo, J., Salus, A., Smolko, M., Němcová, B., Nordmeyer, V., Mikles, M., Rau, S. M., & Johansen, O. E. (2023). Oral enzyme combination with bromelain, trypsin and the flavonoid rutoside reduces systemic inflammation and pain when used pre- and post-operatively in elective total hip replacement: a randomized exploratory placebo-controlled trial. Therapeutic Advances in Musculoskeletal Disease, 15, 1759720X231186875. https://doi.org/10.1177/1759720X231186875
Available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387799/
↩︎ - Henrotin, Y. E., Michlmayr, C., Rau, S. M., Quirke, A. M., Bigoni, M., & Ueberall, M. A. (2022). Combination of Enzymes and Rutin to Manage Osteoarthritis Symptoms: Lessons from a Nar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Rheumatology and Therapy, 9(5), 1305–1327. https://doi.org/10.1007/s40744-022-00472-7
Available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510077/ ↩︎ - Passali, D., Passali, G. C., Bellussi, L. M., Sarafoleanu, C., Loglisci, M., Manea, C., Iosif, C., Passali, F. M. (2018). Bromelain’s penetration into the blood and sinonasal mucosa in patients with chronic rhinosinusitis. Acta Otorhinolaryngologica Italica, 38(3), 225–228. https://doi.org/10.14639/0392-100X-1693
Available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036946/ ↩︎ - De Luca, P., D’Ascanio, L., Cingolani, C., Latini, G., Grigaliute, E., Di Mauro, P., Ralli, M., La Mantia, I., Di Stadio, A. (2023). A Supplement with Ribes Nigrum, Boswellia Serrata, Bromelain and Vitamin D to Stop Local Inflammation in Chronic Sinusitis: A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12(8), 2929. https://doi.org/10.3390/jcm12082929
Available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142908/ ↩︎ - Abdel-Moneim, A. M., Abdelwarith, A. R., Abuali, M., Omar, M. A., Mohamed, S. A., & Alanazi, W. A. (2023). Bromelain Activity in Animal Models of Pain and Inflammation: A Narrative Review. Pharmaceuticals, 16(9), 1200. https://doi.org/10.3390/ph16091200
Available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681521/ ↩︎ - Klein, G., Kullich, W. (2000). Pharmacology of oral proteolytic enzyme combinations: pharmacokinetic studies of the combination Wobenzym.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54(1), 1-4. https://doi.org/10.1007/s002530000449 ↩︎
- Maurer, H. R., Franz, G., Raab, W., & Fritz, H. (2008). Oral enzyme combinations: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profile—a systematic review. Planta Medica, 74(13), 1651–1668. https://doi.org/10.1055/s-0028-1088300
Available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2516972/ ↩︎ - Grill, A. E., Koniar, B., & Panyam, J. (2014). CO-Delivery of Natural Metabolic Inhibitors in a Self-Micr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for Improved Oral Bioavailability of Curcumin. Drug Delivery and Translational Research, 4(4), 344–352. https://doi.org/10.1007/s13346-014-0199-6
Available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240011/ ↩︎ - Gruber, C. W., & O’Brien, M. (2011). Uterotonic plants and their bioactive constituents. Planta Medica, 77(3), 207–220. https://doi.org/10.1055/s-0030-1250317
Available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407953/ ↩︎ - Pavan, R., Jain, S., Shraddha, & Kumar, A. (2012). Properties and Therapeutic Application of Bromelain: A Review. Biotechnology Research International, 2012, 976203. https://doi.org/10.1155/2012/976203
Available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529416/
↩︎ - Maurer, H. R. (2015). Bromelain: biochemistry, pharmacology and medical use. 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s, 58(9), 1234–1245. https://doi.org/10.1007/PL00000936
Available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171718/ ↩︎
본 포스팅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의학적 조언이나 진단, 처방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특정 질환이 있거나 약물(특히 항응고제)을 복용 중이라면, 브로멜라인 섭취 전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